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

소자 프로그래머(Device Programmer) “소자 프로그래머, 어디까지 써봤니?” [랩 프로젝트] “소자 프로그래머, 어디까지 써봤니?” 1. 프로젝트 개요 오늘은 전자공학 연구실(랩)에서 **소자 프로그래머(Device Programmer)**를 활용해, ROM(비휘발성 메모리) 칩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실습을 진행해 볼 겁니다. 흔히 ROM 프로그래머나 칩 프로그래머라고도 불리는 이 장치는,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FPGA, PAL 등 다양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굽는’(write) 역할을 합니다. 프로젝트의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비휘발성 소자의 개념을 이해하고, EPROM/EEPROM/플래시/FPGA 등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원리를 학습 2. 소자 프로그래머의 종류(갱 프로그래머, 개발 프로그래머, 포켓 프로그래머 등)와 실제 사용 방법 체험.. 2025. 1. 29.
전기공학(Electrical Engineering) “ 전기공학자와 함께하는 하루 ” 전기공학자와 함께하는 하루 체험기 1. 아침 7시: 엔지니어의 출발 오늘도 어김없이 알람이 울립니다. 휴대폰 알람에 쓰인 ‘하루 일정표’에는 맨 위에 굵게 “전기공학자(EE)와 하루를 살아보기”라고 적혀 있네요. 호기심 많은 ‘나’는 이 프로그램을 신청했고, 오늘부터 실제 전기공학자와 동행하며 전기공학이 어떤 학문인지, 무슨 일을 하는지 체험할 예정이에요. 잠깐, 전기공학이 뭘까?• 정의: 전기, 전자, 전자기에 대한 이론과 응용을 연구하며, 전력, 통신, 제어, 정보 처리 등이 그 범위에 속합니다.• 확장: 컴퓨터 공학, 전력 공학, 전기통신, 무선(RF), 광학·포토닉스 등 다양한 분야가 전기공학과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협회: 전기공학자들은 흔히 IEEE, IEC, IET 등 국제 전문 기관의 .. 2025. 1. 29.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 미래를 만드는 새로운 지능 " 1.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요? Q: 인공지능(AI)이 정확히 뭘 의미하는 건가요?A: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은 인간의 지능, 즉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 등을 컴퓨터 시스템이나 기계에 구현하려는 학문·기술을 말해요. 인간이나 동물에게서 볼 수 있는 지능(자연 지능, natural intelligence)과 달리,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인공 지능”**이라는 점이 핵심이지요. • 예시: 음성인식, 이미지 분류, 자율주행, 번역, 추천 시스템 등 • AI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과 “(때로는) 특수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됩니다.  2. 강(強) 인공지능과 약(弱) 인공지능, 어떻게 다른가요? Q: 강인공지능(AGI)과 약인공지능(weak AI)은 어떤 차이가 .. 2025. 1. 28.
디지털 신호 처리(DSP)의 세계: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마법같은 변환 디지털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DSP)는 현대 기술의 핵심 기반이자 아날로그 세상과 디지털 세상을 이어주는 마법 같은 기술입니다. 스마트폰으로 깨끗한 음성 통화가 가능한 것부터 초고화질 비디오 스트리밍까지, DSP는 우리 일상 곳곳에서 작동하고 있습니다.들어가며: DSP의 기본 개념과 중요성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디지털 기기들은 어떻게 아날로그 신호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을까요? 그 해답은 바로 디지털 신호 처리에 있습니다. DSP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고, 처리하며, 다시 아날로그로 되돌리는 전 과정을 담당합니다.DSP가 만드는 일상의 마법현대의 DSP 기술은 다음과 같은 놀라운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초당 384,000번의 오디오 샘플링8K 해상도의 실.. 2025. 1. 28.
컴퓨터 하드웨어의 혁신과 미래: 디지털 진화의 여정 현대 기술의 심장부에서 끊임없이 진화하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세계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반도체 공정의 혁신부터 양자 컴퓨팅의 새로운 지평까지, 디지털 시대의 핵심을 이루는 하드웨어의 모든 것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들어가며: 컴퓨터 하드웨어의 놀라운 진화2024년 현재,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스마트폰 한 대의 연산 능력은 1969년 인류를 달에 보낸 아폴로 11호 컴퓨터의 120만 배에 달합니다. 이는 지난 50년간 컴퓨터 하드웨어가 얼마나 극적으로 발전했는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시입니다.현대 컴퓨터 하드웨어의 놀라운 성능최신 프로세서는 1천억 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탑재하고 있으며, 초당 수조 번의 연산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발전은 인공지능, 가상현실, 빅데이터 분석과 같은 첨단 기술의 .. 2025. 1. 28.
컴퓨터 네트워크 (Computer Network) " 디지털 세상의 신경망 " 들어가며1초 동안 넷플릭스의 전체 트래픽은 1,000TB에 달하고, 전 세계 해저 케이블의 길이는 지구를 8바퀴 돌 수 있는 32만 km에 이릅니다. 2024년 현재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 수는 무려 293억 개. 이것이 바로 현대 컴퓨터 네트워크의 놀라운 규모입니다. 이러한 거대한 디지털 인프라는 우리의 일상생활부터 글로벌 경제 시스템까지 모든 것을 지탱하고 있습니다.네트워크 기술의 진화: 과거에서 현재까지인터넷의 역사적 발전1969년 ARPANET으로 시작된 인터넷은 반세기 만에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기술 혁신이 되었습니다:1969: ARPANET 시작1983: TCP/IP 프로토콜 도입1989: WWW(월드와이드웹) 발명1995: 상업적 인터넷 시대 시작2007: 모바일 인터넷 혁명2020: 5G.. 2025. 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