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자 프로그래머(Device Programmer) “소자 프로그래머, 어디까지 써봤니?”
[랩 프로젝트] “소자 프로그래머, 어디까지 써봤니?” 1. 프로젝트 개요 오늘은 전자공학 연구실(랩)에서 **소자 프로그래머(Device Programmer)**를 활용해, ROM(비휘발성 메모리) 칩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실습을 진행해 볼 겁니다. 흔히 ROM 프로그래머나 칩 프로그래머라고도 불리는 이 장치는,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FPGA, PAL 등 다양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굽는’(write) 역할을 합니다. 프로젝트의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비휘발성 소자의 개념을 이해하고, EPROM/EEPROM/플래시/FPGA 등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원리를 학습 2. 소자 프로그래머의 종류(갱 프로그래머, 개발 프로그래머, 포켓 프로그래머 등)와 실제 사용 방법 체험..
2025. 1. 29.
전기공학(Electrical Engineering) “ 전기공학자와 함께하는 하루 ”
전기공학자와 함께하는 하루 체험기 1. 아침 7시: 엔지니어의 출발 오늘도 어김없이 알람이 울립니다. 휴대폰 알람에 쓰인 ‘하루 일정표’에는 맨 위에 굵게 “전기공학자(EE)와 하루를 살아보기”라고 적혀 있네요. 호기심 많은 ‘나’는 이 프로그램을 신청했고, 오늘부터 실제 전기공학자와 동행하며 전기공학이 어떤 학문인지, 무슨 일을 하는지 체험할 예정이에요. 잠깐, 전기공학이 뭘까?• 정의: 전기, 전자, 전자기에 대한 이론과 응용을 연구하며, 전력, 통신, 제어, 정보 처리 등이 그 범위에 속합니다.• 확장: 컴퓨터 공학, 전력 공학, 전기통신, 무선(RF), 광학·포토닉스 등 다양한 분야가 전기공학과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협회: 전기공학자들은 흔히 IEEE, IEC, IET 등 국제 전문 기관의 ..
2025. 1. 29.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 미래를 만드는 새로운 지능 "
1.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요? Q: 인공지능(AI)이 정확히 뭘 의미하는 건가요?A: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은 인간의 지능, 즉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 등을 컴퓨터 시스템이나 기계에 구현하려는 학문·기술을 말해요. 인간이나 동물에게서 볼 수 있는 지능(자연 지능, natural intelligence)과 달리,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인공 지능”**이라는 점이 핵심이지요. • 예시: 음성인식, 이미지 분류, 자율주행, 번역, 추천 시스템 등 • AI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과 “(때로는) 특수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됩니다. 2. 강(強) 인공지능과 약(弱) 인공지능, 어떻게 다른가요? Q: 강인공지능(AGI)과 약인공지능(weak AI)은 어떤 차이가 ..
2025. 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