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과 인테리어/설계 정보

[디자이너 성장기록] 인테리어 컨셉 계획, 구체화의 기술

by 짱구엄마 봉미선 2025. 3. 21.
반응형

by 짱구엄마 봉미선 | 2025. 3. 17.

공간을 디자인하는 일은 단지 아름다운 스타일을 고르는 것이 아닙니다. 설계자에게 있어 컨셉은 공간이 담을 기능, 분위기, 감정, 그리고 사용자의 생활 방식까지 설계하는 일의 출발점입니다. 이 글에서는 인테리어 컨셉을 단순한 감성이 아닌, 실제 프로젝트의 방향을 결정짓는 도구로 다루기 위한 계획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정리하고자 합니다.

본 글은 디자인 실무자나 공간 관련 학습자들에게 실질적인 기준이 될 수 있도록 구성했으며, 각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나 예시 이미지 추천 방향도 함께 소개합니다.


1. 컨셉 개발의 목적: 왜 컨셉이 먼저여야 하는가

컨셉은 ‘방향’입니다. 이후의 컬러 선택, 가구 스타일, 조명 방식, 자재의 선택까지 모든 디테일의 일관성을 결정짓습니다. 프로젝트가 중간에 흔들리지 않기 위해서는, 컨셉이 단순한 느낌을 넘어서 체계적으로 정의되어 있어야 합니다.

목표:

  • 공간의 기능 정의 (주거, 상업, 복합 등)
  • 사용자 페르소나 설정
  • 공간의 정서적 톤 설정 (예: 조용한, 활기찬, 따뜻한 등)

도구 추천:

  • 키워드맵 작성 (예: "감성적인 + 기능적인 + 도시적")
  • 간단한 개념 스케치 및 다이어그램

추천 키워드로 검색:
interior design concept comparison, interior keyword map diagram


 

2. 사용자 분석: 사용자의 ‘라이프 씬’을 설계하라

인테리어는 사용자의 삶을 담는 그릇입니다. 컨셉 설계를 시작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그 공간을 ‘누가, 어떻게’ 사용할지를 구체적으로 상상하는 것입니다.

주요 질문:

  • 이 공간의 주요 사용자와 보조 사용자는 누구인가?
  • 루 동안 그들의 동선과 행동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 어떤 순간에 가장 오랫동안 머물게 되는가?

실습 예시:

  • 1인 크리에이터의 주거 겸 스튜디오: 분리된 수면 공간, 조명 환경, 흡음 처리가 고려된 방송 환경
  • 가족 중심 공간: 동시 이용 가능 동선, 자녀의 놀이와 학습 영역 구분, 부모의 휴식 공간

활용 자료: 사용자 페르소나 시트, 하루 타임라인 다이어그램

 

추천 키워드로 검색:
persona interior design, daily routine diagram architecture, user scenario space plan


 

3. 레퍼런스 수집 및 무드보드 구성: 감성을 시각화하라

감정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시각적 언어가 필요합니다. 이 단계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도구가 무드보드입니다.

레퍼런스 이미지 수집처 추천:

  • Pinterest (키워드 검색 중심)
  • Archdaily, Dezeen (실제 건축/인테리어 사례)
  • Behance (디자인 포트폴리오)

무드보드 구성 팁:

  • 컬러 팔레트 (3~5가지 색상)
  • 재질/텍스처 (우드, 메탈, 패브릭 등)
  • 공간 사진 (조명, 가구 스타일 포함)

예시:

‘도시적인 휴식처’라는 컨셉 아래, 차콜그레이 + 내추럴 우드 톤, 라탄 소재, 펜던트 조명 이미지 등을 결합한 무드보드 구성

 

추천 키워드로 검색:
interior moodboard example, material board interior design, color palette inspiration


 

4. 키워드 추출 및 컨셉 워딩: 명확한 언어로 방향을 설정하라

무드보드를 바탕으로 시각적인 요소를 정리한 후, 키워드 추출 과정을 통해 언어적으로 컨셉을 정의합니다. 이 과정은 클라이언트와의 소통뿐 아니라, 스스로 디자인 방향을 잃지 않도록 해주는 기준이 됩니다.

방법:

  • 무드보드에서 떠오르는 감정 단어 정리
  • 기능적 키워드 + 감성적 키워드 결합
  • 최종 컨셉 문장 구성

예시 문장:

“은은한 빛과 나무결이 머무는, 도시 속 작은 휴식의 공간”

 

추천 키워드로 검색:
interior concept statement, keyword concept development design


 

Zoning Diagram

 

5. 컨셉 다이어그램 및 레이아웃 방향성 설정

이제 컨셉을 시각적으로 정리하는 단계입니다. 주요 공간의 구획, 동선, 기능 배치 방향을 다이어그램 형태로 시각화합니다.

기본 구성 요소:

  • 주요 활동 공간 분류: 예) 휴식 / 업무 / 동선 / 수납
  • 동선 흐름 표시
  • 빛의 방향과 조명 계획 요약

도구 추천:

  • Miro / Figma: 온라인 화이트보드 도구
  • SketchUp, AutoC성AD: 기본 3D 스터디 모델 구
  • 직접 손스케치 다이어그램

추천 키워드로 검색:
space zoning diagram, interior circulation sketch, layout strategy interior


 

6. 소재 및 컬러 샘플링: 컨셉의 물성 구현

컨셉이 구체화되면, 실제 자재와 컬러를 매칭시켜 공간의 분위기를 재현합니다. 이때 가장 유의할 점은 컨셉 워딩과 실제 물성이 일관된 인상을 주는지 점검하는 것입니다.

샘플링 구성:

  • 벽 마감 (페인트, 타일, 패널 등)
  • 바닥 마감 (원목, 장판, 카펫 등)
  • 가구 재질 (금속, 패브릭, 원목)
  • 조명 스타일 및 광색 온도 제안

컬러 툴 추천:

  • coolors.co / colorhunt.co (온라인 팔레트 생성기)
  • 팬톤 컬러 카드 / 페인트 회사 컬러북

추천 키워드로 검색:
material swatch board, interior finish sample layout, pantone interior palette


마무리: 컨셉은 설계 전의 설계다

컨셉 설계는 단지 첫 번째 단계가 아닙니다. 이후 모든 디자인 결정의 기준점이자, 클라이언트와 디자이너, 사용자 사이의 언어를 통일해주는 핵심 언어입니다. 감성과 기능, 자료와 논리, 표현과 설득이 함께 가는 종합적인 작업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무 또는 학습자들이 실질적으로 따라해볼 수 있는 단계와 방법론 중심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실제 공간 사례 속에서 이러한 컨셉 프로세스가 어떻게 적용되고 조정되는지를 공유드릴 예정입니다.

 

💡 팁: 이미지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

플랫폼설명
Pinterest 스타일, 무드보드, 디테일 아이디어 풍부
Behance 포트폴리오 형식의 실제 프로젝트 예시
ArchDaily 실사 사례 중심, 프로젝트 전체 컨셉 참고
Dezeen 최신 인테리어 트렌드와 사진 퀄리티 우수
Material Bank 실제 소재 샘플 이미지 수록 (회원가입 필요)

 

반응형